분류 전체보기823 리눅스 #IO Redirection 오늘 배운 것 IO : input, output Redirection : 방향 재설정 Output ex. ls -l > [파일명.txt] >>> '>' 출력할 값을 > 다음 파일에 저장해라. : 출력값 방향 재설정 리눅스 명령어로 출력할 값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스탠다드 아웃풋 : 터미널 창으로 그냥 출력하는 것 '스탠다드 아웃풋'을 리다이렉션 : 1> 또는 > 를 이용하여 설정 '스탠다는 에러'를 리다이렉션 : 2> 로 설정 : 에러 메시지 출력을 다른 방향으로 출력하는 것 ex. rm rename2.txt 1> result.txt 2> error.log >>> 리네임2 파일을 리썰트 파일로 변경하여 출력(리네임2 파일이 존재한다면), 만약 에러가 뜨면 에러 메시지가 에러 파일로 출력 Input .. 2021. 9. 13. 리눅스 #wget, git, 왜 CLI인가?(순차적으로 실행, 파이프라인) 오늘 배운 것 wget :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는 명령어 ex. wget -O [파일명.확장자] [다운로드주소] wget -O favoriteActor.jpg https://news.nateimg.co.kr/orgImg/es/2021/03/29/PS21032900034.jpg 파일명.확장자 입력시 띄어쓰기는 안되더라. 띄어쓰기 하면 그냥 첫번째 단어로 다운로드 됨 git : 버전 관리 프로그램 (git clone : 오픈소스 복사해서 가져오기) ex. git clone https://github.com/facebook/react.git react_src git clone [오픈소스주소] [내컴퓨터디렉토리명] >>> 오픈소스주소에 나와 있는 버전 일체를 내가 설정한 디렉토리명으로 다운로드 받는다 왜 C.. 2021. 9. 11. 리눅스 #sudo, nano, 패키지 매니저(Homebrew) 오늘 배운 것 https://www.facebook.com/groups/codingeverybody/permalink/1410557108984821/ 리눅스 명령의 빈도수 확인하는 방법(본인 것) sudo(super user do의 약자) >>> 권한이 있는 유저를 뜻한다. 파일 편집 (nano) 파일에 정보를 추가하고 편집하는 방법으로서 nano 에디터를 사용하는 방법 명령어는 그냥 nano를 치면 된다. 아래와 같은 모습 아래 단축키 들을 활용하여 파일을 수정 편집할 수 있다. 저장은 컨트롤 + O 나가기는 컨트롤 + X 범위 지정은 컨트롤 + 6 자르기는 컨트롤 + K 붙이기는 컨트롤 + U 나와서 ls 로 파일 생성 여부를 확인한 모습 패키지 매니저(homebrew) brew.sh -> homeb.. 2021. 9. 6. 개발자 블로그 탐방 #왜 플렉스팀인가?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8. 28. 리눅스 #디렉토리와 파일, --help 와 man 오늘 배운 것 CLI (command line interface) GUI (graphic user interface) 리눅스, 터미널은 CLI 이다. 명령은 현재 위치한 디텍토리에서 수행한다. 파라미터 = 옵션 = 매개변수 *매개 변수 媒介變數 : 수학 두 개 이상의 변수 사이의 함수 관계를 간접적으로 표시할 때 사용하는 변수. ex. ls -a / -l(파일리스트 자세히) ls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 'ls -l'은 자세히 보기 pwd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알려주는 명령어 mkdir (make directory) mkdir 새로 생성할 디렉토리명 cd (change directory) cd 이동할 디렉토리의 경로명 상대경로와 절대경로 상대경로는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를 기.. 2021. 8. 28. 소셜 딜레마를 보고 SNS의 민낯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생각했던 것보다 SNS가 우리 삶과 세계에 아주 아주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무서울 정도로..) 전부터 내 생각과 사고는 내 오리지널이 아닌 여러 프레임들이 덧씌워진 결과라는 생각을 하곤 했는데, 오늘날 그러한 프레임 중에 가장 큰 프레임은 단연 SNS일 것이다. 생각해보면 요즘 어린아이들은 정말 스마트폰 없이는 살 수 없는 듯이 SNS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유행하는 것은 따라 하고 그 집단에 소속되기 위해 지나치리 만치 헌신하고, 또 내집단을 형성하여 따돌리고 갈등을 조장하기도 한다. 여기서 눈치껏 어울리지 못하면 '이상한 애' 낙인이 찍혀 친구들로부터 외면당하기 일쑤이다. 이건 SNS로 인해 생겨나는 폐해 중 일부일 뿐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방.. 2021. 8. 23. 이전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