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렇게 학습한다/Etc19 Python Pillow를 이용해 이미지에 텍스트 추가하기 Pillow는 Python에서 이미지를 다룰 수 있게 해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원래는 Python Imaging Library(PIL)라는 이름으로 시작했는데, 현재는 Pillow라는 이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죠. 이 라이브러리는 이미지를 생성, 수정, 변환, 필터링하는 등 다양한 이미지 처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위의 이미지는 Pillow를 이용해 만든 이미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위의 이미지 처럼 정사각형 이미지에 텍스트를 입히는 과정을 3단계로 설명하겠습니다 :) 1단계, 네모 박스에 색상 채우기먼저 Pillow를 사용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아래 예제 코드를 통해 이미지의 크기와 배경색을 지정해주면, 네모난 박스에 원하는 색상을 채워줄 수 있습니다.from PIL impor.. 2024. 8. 22. Mermaid 로 30초 만에 다이어그램을 그려보자! Mermaid 란?다이어그램을 그릴 때, 일반적으로 마우스로 그리는 GUI 기반의 툴을 사용했을 것이다. Mermaid 는 GUI 기반 툴과 달리 사용자가 직접 코드를 입력하여 다이어그램을 그리는 툴이다. (코드로 다이어그램을 그린다고? 개발자로서 이건 못 참지..!) 코드로 다이어그램을 그린다고 하니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놀라지 마시라, 여러분이 mermaid 코드에 대해 아무것도 몰라도 지금 당장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다! (우리에겐 챗지피티가 있으니까🤭) 아래는 노션과 챗지피티를 활용하여 30초 만에 인물관계 다이어그램을 그리는 영상이다. Mermaid 빠르게 시작하기앞서 영상과 동일한 예제로, 5명의 인물 관계를 다이어그램으로 그려보겠다. - 철수: 철수는 영희와 스터디 그룹을 만들.. 2023. 6. 3. Makefile로 나만의 명령어를 만들어보자! (간단 사용법과 예시) Makefile 왜 써야 해? 개발 환경(dev, stage, qa, production 등)에 따라 실행해야 할 스크립트가 다를 수 있다. 이런 경우 각각의 명령어와 스크립트 이름을 외우지 않으면 적합한 스크립트를 찾아 실행하기가 어렵다. 개발에 집중할 시간도 부족한데 명령어 메모를 이리저리 검색하는 것은 시간낭비처럼 느껴질 것이다. Makefile을 이용하면 이런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Makefile은 ‘make [target이름]’ 라는 간단한 명령어만으로 미리 세팅해둔 스크립트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번 글에서는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Makefile 간단 사용법을 설명하겠다. 사용법 적용하고 싶은 디렉터리로 이동해 터미널 shell 에서 touch 명령어로 Makefi.. 2022. 9. 10. git 개념 정리 HEAD 현재 사용 중인 브랜치의 선두 부분을 나타내는 이름 기본적으로는 'master'의 선두 부분 'HEAD' 를 이동하면, 사용하는 브랜치가 변경됨 stash 파일의 변경 내용을 일시적으로 기록해두는 영역 stash 를 사용하여 아직 커밋하지 않은 변경을 일시적으로 저장해 둘 수 있음 stash 에 저장된 변경 내용은 나중에 다시 불러와 원래의 브랜치나 다른 브랜치에 커밋할 수 있음 fetch 원격 저장소의 데이터를 로컬에 가져오기만 하기 pull과 차이점은 pull은 원격저장소의 내용을 자동으로 병합 fetch는 원격 저장소의 최신 이력을 확인할 수 있음 최신 커밋 이력은 이름 없는 브랜치로 로컬에 가져오게 되고 이 브랜치는 'FETCH_HEAD'의 이름으로 체크아웃 할 수 있음 --abort r.. 2022. 2. 3. cs에 대한 생각 기업 협업이 내일이면 마지막이다. 기업 협업을 4주간 진행하면서 느낀 점은 cs지식이 실제 실무와 많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는 개발에서 데이터 저장은 DB만 사용하는 줄 알았는데,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DB 외에도 메모리, 파일, 등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내가 이번에 다룬 주식 호가 데이터는 전형적인 '스트리밍 데이터'로 그 양이 어마어마하다. 이렇게 방대한 데이터를 DB에 그대로 저장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의 테이블에 매일 수백만 개의 데이터를 쌓는 것은 데이터 관리나 활용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라 여러 파일로 분산 저장한다면 어떨까? 데이터를 관리하기도, 활용하기도 매.. 2022. 1. 20. RESTful 도대체 뭐냐고... 뭔가를 듣고 배운 것 같고 개념도 이해가 되는 것 같은데 뭐가 뭔지 모르겠는 것이 왔다. 그건 바로 RESTful 이다. 일단 이름부터가 마음에 안든다. 뭔지 모르겠다. 풀어보자면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이라고 한다. 네이버 사전에 찾아보니 [확장성 생성 언어(XML) 파일로 된 웹 페이지를 읽어 원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 라고 한다. 한글을 봐도 모르겠다. 공부를 해도 잘 모르겠어서 뭐라 딱 정의하기는 어렵고 그냥 일단 현재까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겠다. (글 마지막 쯤에는 조금 이해가 됬을지도..?) REST 3가지 구성 요소 1. 자원(Resource) : HTTP URI (특정 자원의 위치 주소) 모든 자원에 고유한 ID가 존재하고, 이 자원은 Server.. 2021. 12. 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