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렇게 학습한다 575

Python _ @dataclass 사용법과 타입 확인

파이썬에서는 @dataclass를 통해 데이터의 타입을 명시하고 안정적으로 다룰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간단한 사용법을 소개하고 타입 확인까지 해보겠습니다. @dataclass 사용법 먼저 다음처럼 코드를 작성합니다. from dataclasses import dataclass @dataclass() class Data: name: str int: int dict: dict name은 str, int는 int, dict는 dict로 타입을 지정하였습니다. 이어서 데이터를 만들어보겠습니다. data1 = Data( name = "변덕순", int = 1, dict = {"a":"b"} ) Data클래스를 활용해 data1 이라는 인스턴스를 만들었습니다. print로 name과 타입을 출력해보겠습니다. ..

리포지토리 _ '도메인 주도 설계 철저 입문' 정리

* 이 글은 책을 읽고 주관적인 생각과 함께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설명을 위한 글이 아니므로 내용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목 : 도메인 주도 설계 철저 입문 저자 : 나루세 마사노부 범위 : 리포지토리 리포지토리 리포지토리의 책임은 도메인 객체를 저장하고 복원하는 퍼시스턴시(영속성 - 지속됨을 뜻함)다. 리포지토리에 정의되는 행위는 객체의 저장 및 복원에 대한 것이다. 행위 예시 : save, add, get, store, update, find, find_all, delete 리포지토리를 사용하는 이유 비즈니스 로직이 기술적 요소와 깊은 관계를 맺으면 자칫 문제 해결을 위한 코드가 기술 코드에 침식 당하기 때문에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워진다. 로직이 인프라스트럭쳐 기술에 의존하면 소프트웨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