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g/Today33

'Unsplash 한글 검색기'를 만들었다. 오늘 한 것 모의 면접을 진행했다. 'Unsplash 한글 검색기'를 만들었다. 성장한 점 모의 면접을 하면서 어떤 질문들이 오고갈지 경험해 볼 수 있었다. 'Unsplash 한글 검색기'를 만들면서 FastAPI, 파파고API, 뷰티플숩 등 새로운 기술들을 접해보고 내가 만들고자하는 기능을 실제 구현해 볼 수 있었다. 노력할 점 면접을 보기에는 아직 지식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다. CS 카테고리 별로 모두 요약정리하자 'Unsplash 한글 검색기'를 일단 돌아가게는 만들었는데 코드가 지저분하다. 주말동안에 리팩토링을 하여 코드를 최적화시키고 회고글 꼭 남기자! 내일 하고 싶은 것 내일부터 코딩 챌린지 '어썸27'이 시작된다. 내일은 온전이 챌린지에 집중하자! 2022. 2. 17.
'모의 과제 챌린지'를 기획하였다. 오늘 한 것 네트워크 입문서를 완독하였다. '모의 과제 챌린지'를 기획하고 팀원들에게 컨펌 요청을 하였다. 성장한 점 네트워크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훑어볼 수 있었다. 지금 시점에서 가장 효율적인 학습방법을 생각해보고 아이디어를 실체화 시킬 수 있었다. 노력할 점 네트워크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책과 기존에 정리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나만의 요약본을 만들자. 내일 전체 채널에 '모의 과제 챌린지'를 공개하고 금요일까지 진행될 챌린지를 준비하자. 내일 하고 싶은 것 네트워크 관련 요약본을 50% 이상 만들고 모의 면접을 통해 내 수준을 확인하고 싶다! 챌린지 때 진행할 프로젝트 아이디어를 생각해보고 필요한 기술들을 미리 알아보고 싶다! 2022. 2. 16.
FastAPI와 mongoDB로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오늘 한 것 모의 면접 스터디 진행 '콜렉터 덕순이' 책 검색 서비스 제작 및 배포 성장한 점 팀원들과 모의 면접을 준비하면서 '운영체제'와 관련된 지식을 정리할 수 있었다. FastAPI와 mongoDB로 책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었다. 깃헙주소 노력할 점 CS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요약정리할 수 있도록 하자! '콜렉터 덕순이'는 강의를 보고 따라만든 서비스이다. 지난 주에 언급한 것처럼 이를 응용해 한글 이미지 검색기를 만들어보자! 내일 하고 싶은 것 네트워크 입문서 완독하기 언스플래시 이미지 가져오는 api 구현 2022. 2. 15.
DRF 초기세팅 후 동료들에게 컨펌을 요청하였다. 오늘 한 것 객체의 행동과 상태, 협력 대해 코드로 구현해보고 스터디 모임에서 발표 DRF 초기세팅 후 동료들에게 깃헙 레포 컨펌요청 성장한 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상태와 행동, 식별자를 가진 객체들이 서로 협력하며 우리가 원하는 앱을 만드는 과정'이란 걸 알게되었다. 객체처럼 '초기세팅'도 깃헙으로 올려 공유하면 반복되는 작업을 줄이고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게되었다. (이것이 객체지향적 사고..?) 노력할 점 동료들의 피드백을 받아 DRF 초기세팅을 수정보완하자 주말동안 CS 공부를 빠르게 훑어보자 내일 하고 싶은 것 네트워크 입문서를 완독하고 싶다. 하기로 했던 언스플래시 한글 검색 서비스 구현해보기 2022. 2. 11.
파이썬에서의 객체가 무엇인지 알게되었다. 오늘 한 것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2장 읽고 블로그 포스팅 2022.02.10 - [Review series/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행동이 상태를 결정한다. 객체의 행동과 상태를 구현한 코드 작성 깃헙 링크 DRF 공식문서 1개 토픽 번역 및 포스팅 2022.02.10 - [Document translation/Django REST framework] - Class-based Views 성장한 점 객체의 특성, 그리고 파이썬에서의 객체가 무엇인지 알게되었다. (알고보니 파이썬은 모든 값이 객체였다...!) DRF를 익히기 위해 공식문서에 처음 번역해보았다. 노력할 점 객체를 이해하는데 오래걸려 다른 CS 공부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어느정도 이해했다면 다른 공부로 넘어가도 좋을 것 같다. DRF.. 2022. 2. 11.
'메모리 관리 방법'을 발표하고 '스택'과 '큐'를 코드로 구현해봄 오늘 한 것 어제 공부한 메모리 관리 방법을 스터디에서 발표 2022.02.09 - [Dev/CS] - 메모리 단편화를 해결하는 세 가지 방법 자료구조 스택과 큐에 대해서 직접 파이썬 코드로 구현하고 포스팅 2022.02.09 - [Dev/Algorithm & Structure] - [자료구조] 스택과 큐 Python 코드로 구현해보았다. 성장한 점 '메모리 단편화'라는 개념을 알게 되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페이징', '세그멘테이션', '메모리 풀'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는 걸 알게 되었다. 스택과 큐, 후입 선출과 선입선출에 대해서 파이썬 코드로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노력할 점 CS는 매일 조금씩 꾸준히 학습하여 정리하고 싶다. 알고리즘 문제를 단순히 푸는 게 아니라 '자료구조'를 함께 학습하며.. 2022.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