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렇게 학습한다 575

김왼손의 왼손코딩 #딕셔너리 _ 딕셔너리, 메서드

오늘 배운 것 딕셔너리에는 '키' 와 '값' 이 있다 딕셔너리는 키라는 이름을 붙여 키와 값이 쌍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 딕셔너리에 키를 추가할 때는 [] 와 = 을 사용한다 > 출력할때는 [] 안에 키를 입력하면 된다 > 키를 지우는 양식은 -> del 딕셔너리이름[키 이름] 다시 메서드! 메서드는 해당 자료형에서만 사용되는 '함수' 라고 보면 된다. 딕셔너리이름.values() >>> 값만 출력하는 메서드 딕셔너리이름.keys() >>> 키만 출력하는 메서드 딕셔너리이름.items() >>> 키와 값을 함께 출력하는 메서드 > 특이한 건, for 뒤에 한개 이름만 지정하면 () 안으로 출력되고 > for 뒤에 두개 이름을 지정하면 깔끔하게 () 없이 출려된다. 오늘 느낀 것 이제야 메서드가 이해가..

김왼손의 왼손코딩 #while _ while, continue, break

오늘 배운 것 두 가지 반복문 1. for > 횟수에 따른 반복 2. while > 조건에 따른 반복 반복문을 사용하면 코드를 최소화하여 값을 얻을 수 있음 while 조건: 실행할 명령1 실행할 명령2 > if와 구조는 동일 > 조건이 참이면 명령 실행 > 다시 돌아와 조건이 참이면 명령 실행 > 조건이 거짓이 될때까지 반복 강제중지 : 컨트롤 + C 반복문 안에서 사용하는 키워드 continue > 밑에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맨위로 올림 break > 반복을 종료 오늘 느낀 것 반복문은 자동화를 위해 자주 사용하게 될 것 같다. 자동화 하니까 지금 업무에서 적용가능한 자동화가 있을지 궁금하다. 구글시트로는 자동화하긴 하는데 그 외에 프로그램을 직접 만들어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면 좋겠다. 파이썬..

김왼손의 왼손코딩 #조건문 _ if, else, elif

오늘 배운 것 if 조건 : 실행할 명령1 실행할 명령2 > 조건 : 연산자를 통해 true 냐 false 냐 등의 조건을 확인 > 실행할 명령(=코드블럭) : 구분은 : 부터 띄어쓰기 4칸(동일하기만 하면 됨) ex) input_name = 'DACO' if input_name == 'DACO' : print('Hi!', input_name) else : print('Get out!', input_name) if 조건 : 실행할 명령1 실행할 명령2 else : 실행할 명령1 실행할 명령2 elif 조건 : > else : if 조건에 충족되지 못하는 나머지 값의 경우 명령을 실행 > elif 조건 : if 조건에 충족되지 못할때 새로운 조건으로 명령을 실행 ex) name = 'VOKO' if nam..

김왼손의 왼손코딩 #연산자 _ 논리, 멤버쉽, 비교?

오늘 배운 것 and > 그리고 > 모두가 참이어야 참 or > 또는 > 하나만 참이어도 참 not > 아닌 > 참이 아닌 것 *조건을 만들때 유용하게 쓰임 (엑셀과 동일) in not in > 리스트 안에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있다! (true or false) == > 같냐? != > 다르냐? > > 왼쪽이 더 크냐? 왼쪽이 더 작냐? >= > 왼쪽이 같거나 크냐? (이상) 왼쪽이 작거나 크냐? (이하) 오늘 느낀 것 오늘 배운건 굉장히 쉽다. 평소에도 쓰는 구글시트 조건 함수들인데다 in , not in 도 직관적이라 엄청 쉬운듯 연산자는 대체적으로 엑셀에서도 많이 쓰다보니 크게 어렵게 느껴지지 않았다.

김왼손의 왼손코딩 #연산자 _ 할당, 산술, %로 홀짝 구분하기, 문자열 연산자

오늘 배운 것 operator (연산자) 1. (장비·기계를) 조작하는 사람 2. 전화 교환원 3. + 복합 할당 연산자(기호가 2개 연속으로 붙은 것) = >>> 우측 값을 왼쪽 변수에 할당한다 == >>> 두개의 값이 서로 같은지 비교 += >>> 내부 값에 다른 값을 더한다 -= >>> 내부 값에 다른 값을 뺀다 *= >>> 내부 값에 다른 값을 곱한다 /= >>> 내부 값에 다른 값을 나눈다(+정수에서 실수로 변한다) 1. 사칙연산 + - * / (너무 기본적인 내용이라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 2. 특수연산자 ** >>> 제곱 구하기 // >>> 나누기 몫 구하기 % >>> 나누기 나머지 구하기 # 일단 출력되는 것 확인해보자 nums = [1,2,3,4,5,6,7] for num in nums:..

김왼손의 왼손코딩 #for, range(), for x 2, 컴프리헨션

오늘 배운 것 반복되는 것을 처리하는 것이 컴퓨터의 주특기 (빠르고 정확) => 그래서 반복문을 쓴다. 2가지 방법 1) for 2) while for 문법 '컨테이너' 안에 있는 리스트 들이 순서대로 '변수'에 들어가고 '실행할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반복) '실행할 명령' 은 꼭 띄어쓰기를 해야한다. (파이썬에서는 꼭 해주어야 한다!) > 띄어쓰기를 할 때는 모든 명령들이 동일한 띄어쓰기를 적용해야 한다. ex. 탭으로 했으면 다 탭, 띄어쓰기로 했으면 다 띄어쓰기(동일한 수 띄어쓰기) *권장사항 - 제작자는 띄어쓰기 4칸을 권장한다. ex. for animal in animals: print(animal) >>> ((animals 안에 있던 리스트가 차례대로 모두 출력(한 번에 출력되는게 아닌 ..

김왼손의 왼손코딩 #튜플, 패킹, 언패킹

오늘 배운 것 튜플 :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여러 값을 모아서 저장하는 것 > 단, 리스트와 다른 점은 값을 변경할 수 없다. (이뮤터블) 리스트는 {} 를 쓰지만 튜플은 () 또는 괄호 없이 콤마만으로 만들 수 있다. ex. tuple = () > 빈 튜플 tuple = (1, 2, 3) tuple = 1, 2, 3 > 둘다 튜플이 된다. 패킹은 값을 묶는 것, 언패킹은 값을 푸는 것 패킹 ex. tuple = 1, 2, 3 > 튜플로 묶는 것도 패킹 언패킹 ex. 토마토, 바나나, 사과 = tuple > 위에 묶은 튜플이 각각 토마토, 바나나, 사과 로 언패킹 된다.!! + 언패킹한 값을 서로 바꾸기 위해서는? ex. 토마토, 바나나 = 바나나, 토마토 이렇게 하면 서로 값이 바뀌게 된다. ( 토마토 ..

김왼손의 왼손코딩 #리스트, 값 추가하기, 인덱싱, 슬라이싱, 메서드

오늘 배운 것 리스트에 들어가는 값은 문자열과는 다르게 변경하거나 뺄 수 있다 *immutable : 값을 변경할 수 없는 것 > 문자열 *mutable : 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것 > List 리스트 예시 [val1, val2, ---] 리스트에 값을 넣는 방법 list = ['a', 'b', 'c'] 리스트에 값 추가하는 방법 list.append('d') (append 는 list만 사용할 수 있는 함수) 단, append로 값을 추가하는 경우 사전에 해당 list가 존재해야 한다! 더 자세히는 구글에 파이썬 리스트 끼워넣기 등으로 검색! 리스트 안에 있는 순서에 따라 불러올 수 있는 것 ex. del animals[4] 앞에 del 을 쓰면 해당 리스트 값이 삭제된다! 리스트 안의 값도 문자열과 ..

김왼손의 왼손코딩 #독스트링, end, 이스케이프 코드

오늘 배운 것 # > 주석 """ > 이것도 주석 ex. >>> # 주석 >>> """ 이것도 주석 """ end ex. print('', end='') >>> # 출력의 끝을 지정할 수 있다 Escape code #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문자의 조합 > 문자열 안에 특별한 코드를 넣으면 특별한 행동을 하게 된다. 백슬러시 = \ \n > 줄바꿈 엔터 \t > 탭(공백넣기) ex. print('da', end='\n'); print('c', end='\t'); print('o') da co >>> 여기서 새롭게 알게 된 것은 ; 을 쓰면 그대로 붙여서 쓸 수 있다는 것! ; (세미콜론) > 한 줄이 끝났지만 붙여서 쓸 수 있다라는 의미 but 좋은 방법이 아니다. 한 줄에는 한 명령어만 쓰는 것이 좋다..

김왼손의 왼손코딩 #format(), 인덱싱, 슬라이싱, 메서드

오늘 배운 것 지난 글의 % 로 대입하는 것, 그건 파이썬 답지 못하다. {} 와 .format() 을 이용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My name is {}'.format('내용') >>> 'My name is 내용' '{} * {} = {}'.format(2, 3, 2*3) >>> '2 * 3 = 6' '{1} * {0} = {2}'.format(2, 3, 2*3) >>> '3 * 2 = 6' {} 안에 순서를 지정하여 바꿀수도 있다! 결론 > 문자열을 자유롭게 쓰기 위한 방법! 문자열에도 주소가 있다! > 인덱스 = 주소 띄어쓰기 공백도 하나의 주소로 본다! ex) my_name = 'DACO' my_name[3] >>>'O' 인덱스는 - 도 가능하다. - 는 0 없이 맨 끝이 -1부터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