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렇게 학습한다 575

같은 숫자는 싫어, 그리고 깨달은 세 가지

문제 설명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배열 arr의 각 원소는 숫자 0부터 9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하나만 남기고 전부 제거하려고 합니다. 단, 제거된 후 남은 수들을 반환할 때는 배열 arr의 원소들의 순서를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arr = [1, 1, 3, 3, 0, 1, 1] 이면 [1, 3, 0, 1]을 return 합니다. arr = [4, 4, 4, 3, 3] 이면 [4, 3] 을 return 합니다.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제거하고 남은 수들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배열 arr의 크기 : 1,000,000 이하의 자연수 배열 arr의 원소의 크기 : 0보다 크거나 ..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문제 설명 array의 각 element 중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작성해주세요.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 배열에 -1을 담아 반환하세요. 제한 사항 arr은 자연수를 담은 배열입니다. 정수 i, j에 대해 i ≠ j 이면 arr[i] ≠ arr[j] 입니다. divisor는 자연수입니다. array는 길이 1 이상인 배열입니다. 해결 방법 1. arr를 반복한다. 2. if로 각 요소가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지 확인한다. 3. 나누어 떨어지면 리스트에 담는다. 4. 리스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5. 만약 리스트가 비어있다면 [-1]리스트를 반환한다. def solution(arr..

두 정수 사이의 합, 접근 방법에도 순서가 있어야 한다.

문제 설명 두 정수 a, 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a = 3, b = 5인 경우, 3 + 4 + 5 = 12이므로 12를 리턴합니다. 제한 사항 a와 b가 같은 경우는 둘 중 아무 수나 리턴하세요. a와 b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a와 b의 대소관계는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해결 방법 1. a와 b의 대소관계를 확인하여 새로 할당한다. 2. a와 b의 사이 수들을 구한다. 3. 수들을 모두 합한다. def solution(a, b): num_list = [a, b] a, b = num_list[a >= b], num_list[a < b] answer = sum(range(a..

git 개념 정리

HEAD 현재 사용 중인 브랜치의 선두 부분을 나타내는 이름 기본적으로는 'master'의 선두 부분 'HEAD' 를 이동하면, 사용하는 브랜치가 변경됨 stash 파일의 변경 내용을 일시적으로 기록해두는 영역 stash 를 사용하여 아직 커밋하지 않은 변경을 일시적으로 저장해 둘 수 있음 stash 에 저장된 변경 내용은 나중에 다시 불러와 원래의 브랜치나 다른 브랜치에 커밋할 수 있음 fetch 원격 저장소의 데이터를 로컬에 가져오기만 하기 pull과 차이점은 pull은 원격저장소의 내용을 자동으로 병합 fetch는 원격 저장소의 최신 이력을 확인할 수 있음 최신 커밋 이력은 이름 없는 브랜치로 로컬에 가져오게 되고 이 브랜치는 'FETCH_HEAD'의 이름으로 체크아웃 할 수 있음 --abort r..

물리삭제와 논리삭제를 코드로 구현해 보았다.

삭제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물리삭제는 실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거하는 것이고, 논리삭제는 같은 테이블에 '삭제플레그'의 값을 변경하여 실제 삭제된 것과 동일하게 처리하는 방식이다.(이 외에도 논리삭제의 방법은 다양하다) 코드로 구현해 본다면? 깃헙 링크 (깃헙 링크에 들어가면 코드를 모두 볼 수 있다.) @app.route("/snack/", methods=["DELETE", "PUT"]) def delete(id): if request.method == "DELETE": SnackDelete.delete_physics(id) elif request.method == "PUT": SnackDelete.delete_logical(id) result_value = SnackDelete.select_all..

문자열 내 마음대로 정렬하기

문제 설명 문자열로 구성된 리스트 strings와,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각 문자열의 인덱스 n번째 글자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strings가 ["sun", "bed", "car"]이고 n이 1이면 각 단어의 인덱스 1의 문자 "u", "e", "a"로 strings를 정렬합니다. 제한 사항 strings는 길이 1 이상, 50이하인 배열입니다. strings의 원소는 소문자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strings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100이하인 문자열입니다. 모든 strings의 원소의 길이는 n보다 큽니다. 인덱스 1의 문자가 같은 문자열이 여럿 일 경우, 사전순으로 앞선 문자열이 앞쪽에 위치합니다. 입출력 예 1 "sun", "bed", "car"의 1번째 ..

DRF 궁금한 것 모음

Serializer의 용도는 무엇인가? serializer를 사용하면 쿼리셋과 인스턴스같은 데이터를 json등과 같은 유형으로 쉽게 렌더링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해준다. DRF에는 serializer의 종류가 다양하다. (Model, List, Base 등) 레퍼런스 APIView과 @apiview의 차이는 무엇인가? ‘클래스기반 뷰’와 ‘함수 기반 뷰’라고 볼 수 있다. 전자는 기존 장고와 유사하고 후자는 Flask나 FastAPI와 생김새가 유사하다. 레퍼런스 generics와 ViewSet의 차이는 무엇인가? generics 의 경우 ListAPIView, ListCreateAPIView 처럼 형태, 또는 명령에 대한 기능을 도와준다. 하나의 형태나 명령을 넘어서 모두 사..

문자열 내 p와 y의 개수

문제 설명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 "pPoooyY"면 true를 return하고 "Pyy"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제한 사항 문자열 s의 길이 : 50 이하의 자연수 문자열 s는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결 방법 1. s를 대문자로 만들어준다. 2. P와 Y의 개수를 각각 구한다. 3. 개수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def solution(s): s = s.upper() p_cn..

문자열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문제 설명 문자열 s에 나타나는 문자를 큰것부터 작은 순으로 정렬해 새로운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s는 영문 대소문자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대문자는 소문자보다 작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제한 사항 str은 길이 1 이상인 문자열입니다. 해결 방법 1. 문자열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반환한다. def solution(s): answer = ''.join(sorted(s, reverse=True)) return answer sorted 와 reverse 속성, 그리고 join을 활용하면 쉽게 풀 수 있다. 여기서 join은 sorted로 인해 리스트로 변형된 문자열을 다시 합쳐준다.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programmers.co.kr/lear..

문자열 다루기 기본

문제 설명 문자열 s의 길이가 4 혹은 6이고, 숫자로만 구성돼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s가 "a234"이면 False를 리턴하고 "1234"라면 True를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사항 s는 길이 1 이상, 길이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해결 방법 1. s를 숫자로 바꾸어 본다. 2. 만약 숫자로 바꿀 수 없는 문자열이라면 ValueError를 통해 False 를 반환한다. 3. 숫자로 바꿀 수 있다면 해당 문자열의 길이를 구한다. 4. 길이가 4 혹은 6이라면 True를 반환하고 아니라면 False 를 반환한다. def solution(s): try: int(s) length = len(s) answer = length == 4 or length == 6 ex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