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렇게 학습한다 575

JavaScript _ forEach로 배열 반복문 돌리는 방법

배열을 받아 for문을 돌려 배열내 요소들을 찾거나 가공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우매우) 파이썬이야 ' for i in arr: print(i) ' 로 끝나지만 js의 경우 for문내 조건에만 3가지 항목을 넣어야 합니다. // 일반적인 for 문 형태 for (let i = 0; i {console.log(item)} ) // 결과 1 2 3 4 // 두번째 인자를 지정하면 인덱스도 가져올 수 있다...

Python _ 리스트 요소 개수 세기(dictionary, collections)

리스트에 어떤 요소의 개수를 파악해야하는 때가 있습니다. (특히 코딩테스트에서 사용할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요소 개수를 세는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dictionary 사용 # 요소를 세고 싶은 리스트 >>> list = [1,2,3,4,5,5,5,5,5,1,1] # 빈 딕셔너리를 생성 >>> dict = {} # 요소가 딕셔너리에 있다면 += 1, 없다면 = 1 >>> for num in list: if num in dict: # dict.get(num)로 대체가능 dict[num] += 1 else: dict[num] = 1 # {요소(키): 개수(값)} 형태의 딕셔너리 생성 >>> dict {1: 3, 2: 1, 3: 1, 4: 1, 5: 5} 기본 딕셔너리를 사용하는 베이직한 방법입..

JavaScript _ 스프레드 연산자로 배열 합치기

자바스크립트에는 스프레드 연산자라는 것이 있습니다. 형태는 '...arr' 이렇게 생겼습니다. 보통 배열을 합치거나 복사할 때 사용가능하고 함수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배열을 합칠 때 let a = [1,2,3,4,5]; let b = [5,5,5,5,5]; let c = [...b, ...a]; console.log(c) >>> [ 5, 5, 5, 5, 5, 1, 2, 3, 4, 5 ] 스프레드 연산자 '점점점'과 배열 변수명을 요소로 넣으면 됩니다. 2. 배열을 복사 할 때 let a = [1,2,3,4,5]; let d = [...a] console.log(d) >>> [ 1, 2, 3, 4, 5 ]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해당 배열을 복사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

JavaScript _ 'for문'으로 배열의 합을 구하는 방법

자바스크립트의 경우 배열의 합을 구하는 간단한 내장함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파이썬 최고..)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거나 for문 혹은 reduce함수를 사용해야하는데 이번 글에서 for문으로 배열 합을 구하는 함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코드부터 볼까요? let a = [1,2,3,4,5]; function sum(a){ let sum = 0; for (let i of a){ sum += i; }; return sum; }; console.log(sum(a)) >>> 15 1. 함수 sum은 배열을 인자로 받습니다. 2. 배열로부터 요소를 뽑아 sum이라는 변수에 반복하여 더합니다. 3. sum 변수를 반환합니다. 이처럼 함수를 미리 작성해두면 Python의 sum() 처럼 배열 합계를 구하는데 사용할 수..

Python _ 딕셔너리 가져오기 메서드 정리

딕셔너리의 get 메서드와 ['키']를 이용해 값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단 ['키']를 이용해 값을 가져올 경우, 키가 없다면 키 에러를 내뱉으므로 에러를 따로 핸들링 해주어야 합니다. >>> x {'a': 100, 'b': 200, 'c': 300} # x 딕셔너리 키-값 >>> x.get('a') # 'a'키를 가져온다. 100 >>> x.get('d') # 'd', 만약 없는 키를 요청하면 None을 반환한다. >>> >>> type(x.get('d')) >>> x.get('d', 1000) # 없는 키에 두 번째 인자로 기본값을 지정해주면 기본값을 반환한다. 1000 >>> x['a'] # get 뿐만아니라 ['키'] 형태를 이용해 값으르 가져올 수 있다. 100 >>> x['d'] # 단, 이..

Python _ 딕셔너리 추가, 삭제 메서드 정리

setdefault 메서드로 딕셔너리에 '키'와 '값' 추가할 수 있다. >>> x = {} >>> x.setdefault('a') # 딕셔너리에 '키'를 추가한다. >>> x {'a': None} # 기본값은 'None'이다. >>> x.setdefault('b', 100) # 두번째 인자에 '값'을 넣을 수도 있다. >>> x {'a': None, 'b': 100} # '키'와 '값'을 확인할 수 있다. update 메서드를 이용해 딕셔너리 '키'와 '값' 수정할 수 있다.(없으면 키-값 추가) >>> x.update(a=50) # '키'와 '값'을 지정하여 넣을 수 있다. >>> x {'a': 50, 'b': 100} >>> x.update(c=200) # 만약 '키'와 '값'이 없다면 추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