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렇게 학습한다 575

pre-commit 에서 ‘flake8’ 과 ‘black’ 커스텀 문제

예제 코드 # setup.cfg [flake8] exclude = .git max-line-length = 88 [black] line-length = 88 flake8 과 black 에 ‘line-length’설정 값이 중복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둘다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어느 한쪽을 생략한 경우, 생략한 쪽은 기본값을 채택하여 개발자가 원하는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위에 문서에서 flake8의 ‘max-line-length = 88’ 를 생략하는 경우 # 코드 수정 [flake8] exclude = .git # max-line-length = 88 black은 88자를 통과시키지만 flake8은 기본값인 79자를 기준으로 검사..

pre-commit 을 이용해 commit 전 코드 체크를 자동화하자.

pre-commit 적용하기 해당 글은 깃헙 레포지토리에서도 확인가능합니다. 깃헙 링크 pre-commit란? 커밋 메시지를 작성하기 전에 호출이 되는 명령어입니다. 커밋이 되기 전 문법 오류나 스타일, 정렬, 타입 오류 등을 체크할 때 사용합니다. 개발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하고 커스텀까지 할 수 있습니다. pre-commit 적용 순서 1. git init 2. pip install pre-commit 3. pre-commit install >>> pre-commit installed at .git/hooks/pre-commit 4. pre-commit run >>> An error has occurred: InvalidConfigError: =====> .pre-commit-config.yaml 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