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는 이렇게 학습한다/Algorithm & SQL405

행렬의 덧셈 문제 설명 행렬의 덧셈은 행과 열의 크기가 같은 두 행렬의 같은 행, 같은 열의 값을 서로 더한 결과가 됩니다. 2개의 행렬 arr1과 arr2를 입력받아, 행렬 덧셈의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행렬 arr1, arr2의 행과 열의 길이는 500을 넘지 않습니다. 해결 방법 1. 최종 리턴할 리스트를 생성한다 2. 내장함수 zip과 for를 이용하여 각 리스트의 요소를 분리한다 3. 반복 시 초기화되는 임시 리스트를 생성한다 4. 다시 각 리스트의 요소를 분리한다 5. 분리된 요소끼리 더한 값을 임시 리스트에 추가한다 6. 최종 리스트에 임시 리스트를 요소로 추가한다 7. 최종 리스트를 반환한다 def solution(arr1, arr2): answer_list .. 2022. 1. 15.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 문제 설명 함수 solution은 정수 x와 자연수 n을 입력 받아, x부터 시작해 x씩 증가하는 숫자를 n개 지니는 리스트를 리턴해야 합니다. 다음 제한 조건을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x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n은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해결 방법 def solution(x, n): return [ x * (i+1) for i in range(n) ] 1. 우선 range를 이용해 n의 수 만큼 반복한다. 2. i는 0부터 생성되므로 +1을 하여 실제 반복 수로 바꿔주었다. 3. x 를 (i+1) 과 곱해주어 x가 배수로 생성되도록 하였다. 4. 리스트에 담아 리턴한다. >>> 처음에는 for 문으로 풀었.. 2022. 1. 13.
직사각형 별찍기 문제 별(*) 문자를 이용해 가로의 길이가 a, 세로의 길이가 b인 직사각형 형태를 출력해보세요. 풀이 ''' a = 5 (가로) b = 3 (세로) ''' for i in range(b): for j in range(a): print('*', end='') print(sep='\n') >>> ***** ***** ***** ''' 채점 결과 정확성: 100.0 합계: 100.0 / 100.0 ''' 느낀점 오랜만에 문제를 만나니 순간 어떻게 풀어야하지? 라는 막막함이 있었음 매일 조금씩 꾸준히 풀어나가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느껴짐 쉬운 문제부터 되도록 하루에 한 문제씩 풀어보자 너무 어려운 문제는 오랜 시간을 두고 고민해보자 2022.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