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sitory2 저장소 패턴(Repository Pattern) 도입기 *보안상 일부 명칭을 모호하게 표현하였으며 실제 소스코드가 아닌 설명을 위한 샘플 코드를 사용하였습니다. 저장소 패턴 도입 프로젝트 입사 후, 첫 실무 프로젝트로 저장소 패턴(Repository Pattern) 도입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저장소 패턴이란? 저장소 패턴은 모든 데이터가 메모리상에 존재하는 것처럼 가정하고 이를 추상화하여 데이터 접근과 관련된 구현 사항을 감춘다. 저장소를 제외한 다른 레이어는 더 이상 저장소의 구현에 대해 신경 쓸 필요 없이 인터페이스로만 소통한다. 저장소 패턴을 도입한 이유는 기존 운영하던 ‘A’ 서버(보안상 ‘A’라 지칭)의 레이어가 Controller - Service 로만 구성되어 있었고 이와 관련하여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기존 문제점 1. 비즈니스 로직.. 2022. 7. 10. 리포지토리 _ '도메인 주도 설계 철저 입문' 정리 * 이 글은 책을 읽고 주관적인 생각과 함께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설명을 위한 글이 아니므로 내용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목 : 도메인 주도 설계 철저 입문 저자 : 나루세 마사노부 범위 : 리포지토리 리포지토리 리포지토리의 책임은 도메인 객체를 저장하고 복원하는 퍼시스턴시(영속성 - 지속됨을 뜻함)다. 리포지토리에 정의되는 행위는 객체의 저장 및 복원에 대한 것이다. 행위 예시 : save, add, get, store, update, find, find_all, delete 리포지토리를 사용하는 이유 비즈니스 로직이 기술적 요소와 깊은 관계를 맺으면 자칫 문제 해결을 위한 코드가 기술 코드에 침식 당하기 때문에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워진다. 로직이 인프라스트럭쳐 기술에 의존하면 소프트웨어가 .. 2022. 5.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