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ild2 02.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 비교하기 오늘 배울 것실습을 통해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 차이를 비교하고 StatefulWidget 기본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둘의 차이를 말해보자면 StatelessWidget은 화면이 절대 안 바뀌는 위젯이고,StatefulWidget은 상태(state)가 변하면 화면이 다시 그려지는 위젯입니다. 실제로 둘이 어떻게 다른지 실습을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실습 방법버튼을 누르면 숫자가 1씩 증가하는 코드를 작성합니다.이를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 로 만들어 각각 앱을 실행합니다. 버튼을 눌렀을 때 화면의 숫자가 변하지 않으면 Stateless, 숫자가 증가하면 Stateful이라는 걸 직접 눈으로 확인해 봅니다. Statele.. 2025. 5. 1. docker-compose 작성하면서 생긴 이슈 세 가지 (feat. m1) docker-compose를 이용해 app과 db를 각각 컨테이너로 구현해보고자 했다. 도커를 처음 사용하다 보니 여러가지 문제들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애먹었던 세 가지 이슈에 대해서 적어본다. 이슈1. 도커 빌드 중에 asyncpg만 유독 설치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원인 - 정확히는 알기 어려우나 m1 관련 이슈로 보인다. 해결 - 빌드 과정에서 gcc를 추가 설치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 Dockerfile 에 추가 RUN apt-get install -y gcc gcc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위한 컴파일러’ 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위키를 참고하기 바란다. 참고 링크 Error with pip install in Docker on Mac M1 when using Slim distr.. 2022. 5.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