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34

기기 간 동기화 : 언제 어디서든 Focus Together! 이전 글에서 소셜 로그인 구현을 다루었다. 구글 로그인 : 기기 간 동기화를 위한 소셜 로그인FocusTogether를 사용하면서 개인적으로 가장 불편했던 점은 오직 하나의 기기에서만 기록을 수집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지금까지의 FocusTogether는 회원가입/로그인 기능이 없었다. 집중하는 시간을daco2020.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소셜 로그인을 기반으로 기기 간 동기화 구현과 배운 것을 다루어보겠다. 앞선 글에서 나는 '내 기록을 한곳에서 모아볼 수 없는 것'은 치명적이라고 말했다. 특히, 내가 가장 크게 불편을 느끼고 있었다. 내가 원하는 모습은 데스크탑 브라우저에서 집중할 작업을 시작하고, 이후에 이동 중 모바일 기기를 통해 작업을 종료 및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었다. 지.. 2025. 9. 19.
구글 로그인 : 기기 간 동기화를 위한 소셜 로그인 FocusTogether를 사용하면서 개인적으로 가장 불편했던 점은 오직 하나의 기기에서만 기록을 수집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지금까지의 FocusTogether는 회원가입/로그인 기능이 없었다. 집중하는 시간을 기록하고 관리하는데 개인 정보가 필요 없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데이터는 브라우저 안에서 기록을 하고 있었고, 현재 몇 명이 이용하는지만 따로 서버에 보내어 수집하고 있었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만약, 내가 데스크탑으로 FocusTogether를 이용하다가 종료하지 않은 채 외출을 한다면? 혹은 외부 활동이나 이동 중에 시간을 기록하고 싶다면? 이런 경우에 데스크탑과 모바일에서 각각 기록을 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별도의 사용자로 인식되었다. 내 기록을 한 곳에서 모아볼 수 없는 것은 치명.. 2025. 9. 18.
포커스 라운지 : 우리가 함께 집중하는 모습 앞선 개발 일지에 나는 FocusTogether를 '함께 집중하는 공간'이라고 표현했다.작업 시간을 잘 트래킹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국 1순위는 함께하는 느낌을 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드러낼 수 있을지 고민이 있었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레퍼런스로 삼은 서비스는 '열품타'이다. 열품타는 열정을 품은 타이머라는 뜻으로 앱 서비스이다. 열품타는 특히 공부, 스터디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이다. 우측 이미지를 보면 스터디 그룹을 만들어서 그룹 내에 누가 공부를 하고 있는지, 얼마나 하고 있는지 볼 수 있다. 이처럼 함께 무언가를 하고 있는 모습을 FocusTogether에도 보여줄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나아가 열품타가 하지 않는 것들을 추가하여 FocusTogether만.. 2025. 9. 10.
작업 자동 종료 : 장기간 활동이 감지되지 않아... 종료되었어요 오전에 이슈가 올라왔다. FocusTogether는 웹 기반으로 동작하는 서비스이다 보니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닫거나 혹은 노트북을 닫거나, 휴면 상태로 전환되면 로컬에서의 동작이 멈추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다시 브라우저를 열고 FocusTogether에 접근하면 기존의 시간과 데이터를 가져와 이어서 동작하지만 그 사이에 서버와 DB에는 데이터가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때문에 만약 사용자가 작업 종료를 깜빡하고 잠에 들거나 혹은 브라우저를 닫아버렸다면 실제로는 집중한 시간이 아님에도 하염없이 시간이 누적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상황을 세세하게 통제하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사용자에게 잔소리를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이 문제를 그나마 보완하기 위해서, 일정 시간 동안 로컬에서.. 2025. 9. 8.
주간 리포트 : 지난 한 주 얼마나 집중했을까? FocusTogether를 처음 기획할 때, 사실 한 가지 숨겨진 의도가 있었다. 나는 시간을 공유하는 삶(줄여서 시공삶)이라는 커뮤니티에 참여하고 있는데, 시공삶은 자신이 일주일 동안 시간을 어떻게 썼는지 기록하고 서로에게 공유하며 한 주를 회고하는 커뮤니티이다. 나는 시공삶에서 PDS라는 다이어리를 사서 수기로 기록했었는데, 수기로 기록하면 디지털보다는 더 와닿고 재미도 있으나 아무래도 자동화가 되지 않고 한 번 누락하면 기억이 나지 않아 내용을 채우기가 어렵고 피로했다. 그래서 FocusTogether를 개발할 때, 이 문제도 함께 해결하고 싶었다. 주간 리포트집중한 기록이 계속 남아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주간 리포트를 제공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먼저 우측 상단 햄버거 .. 2025. 9. 7.
시간 단위 변경 : (분) 단위 에서 (시, 분) 단위로 FocsuTogether를 처음 기획할 때에는 심플하게 분으로만 계산해 보자란 생각을 했다.아래 이미지는 '분(m)'을 기본 단위로 사용하고 있는 모습이다. '분' 단위를 사용한 이유'분'을 기본 단위로 기획한 이유는 1시간보다는 60분이 더 높은 숫자이기 때문에 더 많이 집중한 듯한 느낌을 주지 않을까? 싶어서였다. 그리고 문장 길이를 통제하기도 상대적으로 쉬웠다. 분 단위로 표기하면 숫자만 늘어나는 구조이니까. 때문에 대시보드에서도 마찬가지로 '분'으로만 표기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최근 유사한 시간 관리 앱 서비스를 만들고 있는 지인 개발자로부터 조언을 들었다. 그는 사용자들로부터 시간 단위 표기를 원한다는 피드백을 많이 받았다고 했다. 시간을 측정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 2025. 9. 4.